현대사회의 많은 이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무의식(unconscious)'.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이 바로 프로이트 입니다.
오늘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생애, 성장과정, 학력, 연구부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시작하기전에 틈새상식!
프로이드? 프로이트?? 무엇이 맞을까요??
정답은 ! 둘다 정답! 입니다.
프로이드(Freud)는 영어 발음, 프로이트 (Freud)는 독일어 발음 입니다.
1. 프로이트의 생애
프로이드는 1856년 5월 6일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현재 오스트리아)의 프라하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모님은 중산층의 유대인으로, 아버지는 카를 프로이트(Karl Freud)이고 어머니는 아모네 베르네이크(Freud Amalia Nathansohn)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어린 시절부터 교육에 대한 가치를 강조하는 환경에서 자랐습니다.
2. 프로이트의 성장과정
프로이트는 레오 하스(Habsburg) 제국의 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공부를 좋아하던 그는 특히 신경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뛰어난 학생으로서의 소양을 보여주었습니다.
3. 프로이트의 가족관계
프로이트의 부모님은 카를 프로이트(Karl Freud)와 아모네 베르네이크(Freud Amalia Nathansohn)입니다.
아버지 카를은 특히 자신의 아들 프로이드에게 교육적 가치와 열정을 전달하는 데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아모네 베르네이크 역시 그의 성장과 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어머니는 그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프로이트는 여러 형제들이 있었습니다. 이들 중에서는 그의 형 야콥(Jakob),
아우그스트(August)가 가장 유명합니다.
형제들과의 관계는 그의 성격과 삶의 여러 측면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프로이트는 결혼 후 여섯자녀를 두었습니다. 첫째는 말라(Mathilde), 둘째는 안나(Anna),
셀마(Selma), 올리비아(Oliver), 에르난트(Ernst), 그리고 제라드(Jean-Martin)입니다.
그의 자녀들 중 일부는 나중에 유명한 정신 분석학자가 되었으며, 그들 역시 그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프로이트의 가족관계는 그의 삶과 이론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가족들의 지지와 이해는 그의 연구와 이론화를 지원하고, 그의 삶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의 가족은 그의 삶과 이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4. 프로이트의 학력사항
프로이트는 레오 하스(Habsburg) 제국의 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습니다.
그는 1873년에 대학에 입학하여 의학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대학에서의 학업은 그의 나중의 연구 및 이론 개발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했습니다.
프로이트는 특히 신경학에 대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는 레오 하스 대학에서 신경학을 전공하고, 인체의 신경 시스템과 기능에 대해
깊이 연구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그의 이후의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프로이트는 의학 공부를 통해 심리학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는 인간의 마음과 정신 건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 더 깊이 연구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의 정신 분석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프로이트가 공부한 의학, 심리학은 그의 학문적 탐구와 의사로서의 연구와 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의학 공부와 신경학 연구를 통해 그는 인간의 마음과 정신 건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이후의 정신 분석학의 발전과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서재 > 심리학, 상담학,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더-게슈탈트 검사 (BGT: Bender-Gestalt Test)/검사 방법/장점/단점/ BGT도형 (0) | 2024.05.07 |
---|---|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주요개념/ 무의식/ 심리성적 발달단계/ 방어기제/ 공헌점/ 한계점 (0) | 2024.03.27 |
품행장애 증상/원인/ 품행장애(DSM-5)진단기준/ 치료방법 (0) | 2024.01.28 |
지적장애 증상/ 지적 기능(IQ)에 따른 분류/지적장애 원인/ 지적장애 MSM-5 진단기준/지적장애 치료방법 (0) | 2023.05.12 |
분노조절장애(간헐성 폭발장애)가 무엇인가요? (1) | 2022.10.04 |
댓글